✿
프랑수아 오귀스트 르네 로댕
François-Auguste-René Rodin
( Frenchㅣ1840-1917ㅣaged 77 )
法国雕塑艺术家/ 雕塑家
프랑스 조각가
●로댕 미술관
THE MUSÉE RODIN - MEUDON 뫼동
2151 Benjamin Franklin Pkwy, Philadelphia
필라델피아 벤자민 프랭클린 파크웨이
필라델피아 벤자민 프랭클린 파크웨이
미켈란젤로,라파엘로에 버금가는 예술가가
될수 있다며 당당히 말하던 스무살의 로댕은
이후 현대조각의 아버지, 창시자로 추앙받는
천재조각가로서의 국제적 명성을 얻었어요.
부와 명예를 손에 쥔다고 해서 외로움이
사라지는건 아니였어요. 말년에 하나남은
소원이 있다면 자기이름으로 된 박물관
건립이였어요. 전 작품을 국가에 기증하기로
하고 모든정신을 집중했어요. 이렇게 해서
세워진것이 뫼동에 있는 미술관이예요.
다음에 미술관편에서 자세히 소개할께요.
로댕은 유용하고 다양하게 사진을
활용한 선각자先觉者로 기억되기도 해요.
Rodin was a keen collector and
an imaginative user of photography.
아직 사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깊지 않을때
앞서서 매체의 잠재력과 예술성을 파악하고
사진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이예요.
By the end of his life, his collection and
archives numbered no less than 7,000 prints.
건축, 풍경, 누드등 수집했던 사진들로부터
얻은 영감은 작품 곳곳에 녹아들었어요.
(이건 다음에 할 얘기인데 조각에 있어서
매번 새로운 형상을 만드는것보다
잘 만들어 놓은 인물상의 복제품을 여럿
생산해서 늘어놓는것을 좋아했어요.
또 작품안에서도 약간의 추가와 변형을
가해 조합하는것, 구성의 변화를 즐겼어요.
간단히 말하면 한작품에 등장했던 손이나
얼굴이 다른 작품속에 자주 등장해요:)
사진속 이미지를 조합에 활용한 것도
비슷한 취향으로 이해하면 될것같아요.
(part of a stock of photographs used by artists
in the elaboration of their compositions.)
사실 처음에는 사진이란 매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오히려 멸시하는 입장에 가까웠어요.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re was an open debate between
the supporters and detractors of this
new means of producing images.
* The basic argument
: was photography a “mechanical” tool
for capturing reality, or did it leave room for
an interpretative and expressive approach?
In other words, was a photograph
a document or a work of art?
While Pictorialist photographers
endeavoured to have photography
recognized as an artistic medium in the
1890s, this status was not really acquired
until after World War II.(1939-1945)
여러 사진가들과 친분을 가지면서 무수히
복제가능한 점, 영구적 기록으로 남길수
있는 보존가치, 창작활동에 활용하고 영감을
얻을수 있는 소장가치에 주목하게 되었어요.
From the 1840s onwards, A rapport between
photography and sculpture very soon emerged.
또 한가지 로댕이 사진을 사용한 분야는
반박자료, 즉 증거로 활용했어요.
*Evidence for the defence
In 1877, his submission to the
Paris Salon (Salon de Paris 살롱전)
▶The Age of Bronze, was the subject of
huge controversy. Its critics accused
Rodin of not having modelled this male
figure, but of having used a life cast.
1877년 살롱에 출품한 <청동시대>에 관해
실물(인체)을 본떠서 결합한 것에 불과하다,
즉 예술적 창조행위가 결여된 것이라는
여론이 일었어요. 18개월동안 공들여 만든
작품에 대한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로댕은
사진가를 고용했어요. (to take a series of
shots of both the plaster version of
The Age of Bronze and Auguste Neyt.)
Auguste Neyt : 어그스트 네이는 작품의
모델이였던 22세의 벨기에 군인이예요.
- the model who had posed for the work.
He chose to prove his innocence,
not by producing a live cast of the
actual model in the same pose,
but by comparing photographs of the
plaster version of the work and the sitter.
로댕은 반박의 여지가 없는 증거를 보이며,
조각가로서의 역량과 해부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기에 이 작품이 탄생할수
있었음을 당당하게 밝히고 싶었던 거예요.
1880년대부터 고용한 사진작가를 작업실에서
데려와 적극적으로 조각작품을 촬영했어요.
개인소장용, 후원자와 작품구매자에게
증정하는 단순한 기록의 수단으로 출발한것이,
꼼꼼히 철저히 따지고 지시에 관여하면서
더욱 결과물에 집착하게 돼요. 어떤 조각작품은
달빛아래에서 촬영하기로 컨셉을 잡은 후로
원하는 사진을 얻는데 1년이란 시간이
소요되었어요. 결과는 대만족이였어요.
사진을 촬영한 이후로는 (조각은 전시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대중에게 미처 공개하지
못했던 작품을 선보일수도 있게 되었으니,
전시에 주안점을 두고 결과(사진)에 욕심
낸것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부분이예요.
조각은 사면에서 감상이 가능한 작품이라
하나의 이미지로는 설명이 부족한 듯해서..
로댕편에서는 Getty Image를 많이 쓰려고 해요:)
작품 설명은 차후에 하기로 하고,
오늘은 사진을 감상하면서 끝낼께요.
●대표작품
《思想者》
The Thinker
생각하는 사람
《地狱之门》
The Gates of Hell
La Porte de l'Enfer
La Porte de l'Enfer
지옥의 문
《吻》
The Kiss
키스
<The Thinker>
In Buenos Aires, Argentina.
- In front of the Congress, is the
second original cast of the Rodin, 1907.
second original cast of the Rodin, 1907.
The Thinker' in the Rudier foundry, 1950.
<The Thinker / 1940>
at Columbia University in New York City
<The Gates of Hell >
Rodin Museum, Philadelphia
Rodin Museum, Paris
The musée Rodin - Meudon
<The Gates of Hell , MAQUETTE 축소모형>
FIRST MAQUETTE 1880 /Wax
SECOND MAQUETTE 1880/ Modelling clay
THIRD MAQUETTE 1881/ Plaster


Rodin Museum, Paris

The musée Rodin - Meudon
<The Gates of Hell , MAQUETTE 축소모형>
FIRST MAQUETTE 1880 /Wax
SECOND MAQUETTE 1880/ Modelling clay
THIRD MAQUETTE 1881/ Plaster
<The Ki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