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
( Italian l 1571-1610 l aged 38 )
Movement :Baroque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
( Italian l 1571-1610 l aged 38 )
Movement :Baroque
카라바조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거장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Michelangelo
di Lodovico Buonarroti 1475-1564)가
사망한지 7년째돼는 해에,
밀라노(Milan)의 유력한 귀족가문의 집사이자
건축업자인 페르모 메리시(Fermo Merixio)와
역시 유복한 집안 출신인 루시아 아라토리
(Lucia Aratori)사이에서 태어났어요.
카라바조는 미켈란젤로를 스승이자 경쟁자로
삼아 그를 뛰어넘으려 했어요. 그의 야심은
앞으로 만나볼 작품속에서 엿볼수 있을 거예요~
-----
In 1576 the family moved to Caravaggio
to escape a plague which ravaged Milan,
and Caravaggio's father died there in 1577.
2년간 밀라노 인구의 20%를 죽음으로 몰고간
전염병 때문에, 가족들은 아버지의 고향이자
조용한 시골마을 카라바조로 피신했어요.
(이 지명을 따서 나중에 이름을 바꾼거예요:)
이듬해 10월 전염병(흑사병)은 할아버지,
아버지, 삼촌의 목숨마저 앗아갔어요.
비록 아버지가 남긴 유산이 적지 않았지만,
홀로 남겨진 채 가족을 부양할 어머니와
불우해진 가족들의 미래를 낙담할순 없었어요.
어린 형제자매들은 일찌기 제갈길을 선택해요.
독실한 카톨릭 집안이였던만큼 동생들은
예수회 사제와 신부가 되기위해 교회로,
카라바조는 화가가되기위해 밀라노로 향했어요.
-----
1584년 13살때 밀라노의 시모네 페테르차노와
도제계약을 체결하고 1588년까지 4년간
공방에서 제반기술과 미술이론을 배웠어요.
(Milanese painter Simone Peterzano)
Peterzano는 당시 밀라노에서
최고의 명성을 누리던 중견화가예요.
엘그레코(El Greco, 1541-1614)와 함께
티치아노(Tiziano Vecellio, 1488-1576)의
화실에서 수련받은 제자였어요.
인맥을 활용해 교회로부터 대량의 주문을
받아냈고, 작품에 Tiziano alumnus라 서명해
'티치아노의 제자'임을 밝히는 것도
잊지않는 용의주도한 사업가였어요.
애석하게도 어릴때부터 예술적 재능을
보였던 카라바조가 첫스승에게서 무엇을
얻었는지 (혹은 그냥 조수에 머물렀는지?)
정확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으며..
이 기간을 제작년도로 하는
작품이 발견된 바도 없어요.
당시 밀라노 미술계에는 신앙심을 고취하기
위한 호교론護敎論적 주제가 지배적이였어요.
카톨릭 교인들의 개종을 방지하기위해
추기경이 모든 성당의 그림장식을 검열했고
반기독교적인 작품은 폐기할 정도였어요.
따라서 스승 페테르자노가 자연주의와
매너리즘적 화풍을 견지했음을 미루어 보아,
꼼꼼하고 사실에 충실한 종교화나 초상화의
제작에 집중했을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해요.
-----
기록과 학자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이제 막 화가의 길로 접어든 어린 카라바조의
화풍이 정립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쳤음직한
요소들에 대해 짚어볼께요.
첫번째 종교적요소인 가족력은 보았죠.
16세기 밀라노는 매너리즘(mannerism)이
유행하는 가운데 롬바르디아(Lombardia)
대표 화가들도 두각을 보이던 때예요.
이탈리아 북부를 중심으로 발달해온
이 화파는 자연과 물체를 사실적이고
정밀하게 묘사하는 특징이 있어요.
어둠과 빛의 대비에 종교적 의미를
담는 기법을 자주사용했는데,
어둠이 세속을 뜻한다면
강렬한 빛은 성스러움을 대변해요.
흔히 카라바조를 빛과 어둠의 대가라고 하죠.
그가 선보인 극명한 명암대비 테네브로소
(il tenebroso, 배경을 어둡게 하는 방식)는
이에 영향을 받은 화가들에 의해 17세기
▷Tenebrism테네브리즘이라는 사조로 발전해
유럽화단을 지배하기에 이르러요.
카라바조를 테네브리즘의 창시자라고는
하지만 그가 룸바르디아 화풍의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하긴 어려워 보여요.
어쨌든 이들의 공통된 원류를 더듬어 보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의
대기원근법 Aerial perspective이 있어요.
다빈치는 과학적 탐구를 기반으로
현실을 재현하기 위해 애썼고
광학을 회화에 도입했어요. 서양미술사상
대기원근법을 처음 도입한거죠.
멀수록 부드럽고 흐리며 때로는 신비롭게,
가까울수록 명료하게 표현하여 생동감을
더하던 그의 기법은 르네상스에 이르러
풍경화의 기본화법으로 받아들여졌어요.
다빈치는 물체의 원근에 따라 색조의
명암을 달리하는 자신의 방식을 설명할때
chiaroscuro(이탈리아어: 명암)를 사용했는데
며칠전 렘브란트작품 감상때 봤던 용어죠 :)
학자들은 다빈치의 대기원근법과
카라바조의 테네브리즘으로
전해져오던 이탈리아의 명암법이
Rembrandt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보고 있어요.
-----
카라바조는 "내그림에 데생연습이란 없다"며
평생 alla prima를 고수한것으로 알려져있어요.
기초도안이나 밑그림을 그리지 않고
거침없이 화폭에 붓을 갖다댔죠.
이는 16세기 베네치아 화가들사이 유행하던,
채색과 디자인을 병행하는 화법이예요.
디자인보다 색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요.
반대로 후기 르네상스 화가들과
매너리즘 화가들(mannerist),
스승 Peterzano는 전통방식을 따랐어요.
먼저 기초도안을 제작하고 밑그림을 그린후
채색으로 완성하는 단계를 거쳤어요.
----
Caravaggio's mother died in 1584.
카라바조가 페테르자노의 화실에 있던
4년(1584-1588)과 로마에서 활동을 시작한
1592년사이 공백기간동안 그의 행적에 대해
난무하는 억측가운데, 밀라노에서 살인을
저지르고 로마로 도주했다는 설이 가장 널리
알려져있어요. 기록과 법률문서에 따르면
모친의 사망후 밀라노와 카라바조마을을 재차
오가며 상속받은 재산을 급히 처분했다고 해요.
왜 서둘러 부친의 고향마을을 떠났는지
알순없지만 앞으로 살인과 도주로
일그러진 그의 행적이 전개될꺼예요.
그의 작품들이 걸려있는 수도원
(^^;? 갑자기 생각이 안나요)에
들어서면 탄성이 터져나올만큼 누구도
그의 천재성을 부인할수 없다고 해요.
인간과 화가를 따로보는 이분법적 시각이
(저 스스로 특히:) 꼭 필요할꺼 같아서
미리 얘기하는거예요.
-----
과일 바구니를 든 소년은 카라바조의 강렬한
테네브로소기법이 처음 시연된 작품이자 그를
테네브리즘의 창시자 자리에 앉힌 작품이예요.
각 그림의 설명이 길어질듯하니
오늘은 이만 감상하면서 마칠께요 :)
To Be Continued-
<Boy With A Basket Of Fruit 1593>
oil on canvas, 67 x 70 cm
The Borghese Gallery, Rome
이탈리아 보르게세 미술관
<Musicians 1595>
oil on canvas 115.9 x 87.9 cm
<Cardsharps 1594>
oil on canvas 131.2 x 94.2 cm
The Kimbell Art Museum, Fort Worth, Texas
<The Lute Player 1596>
oil on canvas 119 x 94 cm
Hermitage, St. Petersburg, Russia
<Jupiter, Neptune And Pluto 1597>
mythological painting
fresco, 180 x 300 cm
The Casino di Villa Boncompagni Ludovisi,Italy
<Basket Of Fruit 1596>
still life/ oil on canvas, 64 x 46 cm
The Biblioteca Ambrosiana, Milan, Italy
<John The Baptist 1598>
religious painting
oil on canvas 112 x 169 cm
Cathedral Museum, Toledo, Spain
<John The Baptist 1602>
religious painting
oil on canvas ,94 x 129 cm
The Capitoline Museums, Rome, Italy
<Rest On The Flight Into Egypt 1597>
religious painting
oil on canvas, 166.5 x 133.5 cm
The Doria Pamphilj Gallery, Rome, Italy
<Still Life With Flowers And Fruit 1601>
still life/ oil on canvas 184 x 105 cm
The Borghese Gallery, Rome
<The Fortune Teller 1598-1599>
oil on canvas 131 x 99 cm
Musée du Louvre, Paris, France
fresco, 180 x 300 cm
The Casino di Villa Boncompagni Ludovisi,Italy
<Basket Of Fruit 1596>
still life/ oil on canvas, 64 x 46 cm
The Biblioteca Ambrosiana, Milan, Italy
<John The Baptist 1598>
religious painting
oil on canvas 112 x 169 cm
Cathedral Museum, Toledo, Spain
<John The Baptist 1602>
religious painting
oil on canvas ,94 x 129 cm
The Capitoline Museums, Rome, Italy
<Rest On The Flight Into Egypt 1597>
religious painting
oil on canvas, 166.5 x 133.5 cm
The Doria Pamphilj Gallery, Rome, Italy
<Still Life With Flowers And Fruit 1601>
still life/ oil on canvas 184 x 105 cm
The Borghese Gallery, Rome
<The Fortune Teller 1598-1599>
oil on canvas 131 x 99 cm
Musée du Louvre, Paris, France
♥
고마워요 내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