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렘브란트 하르먼손 판 레인
( Dutch l 1606-1669 l aged 63 )
A Dutch painter and etcher
Art Movement: Baroque
<Artist in his Studio, 1628>
CATALOGUE RAISONNÉ ;
Bredius 419; RRP A 18
24.8 x 31.7cm / Oil on panel
Rembrandt was born in Leiden,
in the Dutch Republic, now the Netherlands.
렘브란트는 레이던의 어느 부유한 방앗간집
9 형제자매중 8번째로 태어났어요.
부친(miller)은 제빵업자의 딸을 아내로 맞아
주택과 방앗간(van Rijn)을 구입해 이사했어요.
부친(miller)은 제빵업자의 딸을 아내로 맞아
주택과 방앗간(van Rijn)을 구입해 이사했어요.
이곳에서 렘브란트가 태어난것으로 추정해요.
렘브란트는 네덜란드의 황금기
(The Dutch Golden Age)를 살았던 화가예요.
그가 태어난지 3년째되는 날(생일)은
우연히도 스페인과 12년간의 휴전협정을
체결하면서 자유를 되찾은 의미있는 날이예요.
13-4세기부터 자생적으로 자본주의가 발달했던
네덜란드는 스페인의 왕가에 귀속되면서
네덜란드는 스페인의 왕가에 귀속되면서
정치,경제,종교적인 탄압을 받았었어요.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폭동과 혁명을 통해 항전한 끝에 얻은 평화는
다시금 문화적 여유를 되찾게 해주었어요.
폭동과 혁명을 통해 항전한 끝에 얻은 평화는
다시금 문화적 여유를 되찾게 해주었어요.
수많은 철학자(스피노자,데카르트)와 화가들,
해외 유학생들이 유럽금융의 중심지이자
해외 유학생들이 유럽금융의 중심지이자
항구가 발달한 네덜란드의 대도시로 모여들어
자유로운 분위기속에서 문화의 꽃을 피웠어요.
이는 근대유럽 문화형성의 바탕이 되었어요.
렘브란트는 주로 주위에서 모델을 찾았고,
부모님과 형제자매를 다수 그렸어요.
부모님을 그린 습작들이 상당수 전해지는데,
그림속에 아버지의 이름을 적어둔것도 있어요.
부친이 사망하기 직전 그려진 1630년 작품이
그러한데, 노인이 두눈을 지그시 감고 있어서
시력을 잃었던 것이 아닐까 짐작하기도 해요.
렘브란트는 실제로 후기로 갈수록
'맹인'을 그리는데 열중했는데,이사실이
부친이 생의 말기에 시력을 잃었던
것으로 보는 주장에 무게를 싫어줘요.
어머니는 아버지가 떠난 이후로도
10여년간 아들의 모델이 되어줬어요.
그렇다고 노파를 그린 초상화를
어머니라고 단정짓는것은 무리가 있어요.
1629년작도 모친으로 추정만하고 있어요.
<A Bust of an Old Woman 1629-31>
(The Artists Mother??)

<Old Woman In Prayer 1630>
12 x 16 cm
노년기 인물들은 실제 부모님의 나이와
일치하지않고, 오히려 훨씬많아요.
형제를 그린 작품도 상당수 있지만
모델들을 정확히 구분하기 쉽지 않아요.
9명이라 많아서 그런것도 있을테고.
그리고 오래전 일이라 기록에 의존해야하는
점도 중요한 이유가 되겠죠.
-----
렘브란트의 주요 전기로 꼽히는, 17세기에
발간된 서적 2권 모두 화가사후에 쓰여졌어요.
우리는 렘브란트의 조수가 직접 쓴 ,
또는 조수나 주변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미술사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전하는
기록으로만 당시를 회상할수 있어요.
당연히 미움섞인 무조건적 비판도, 추종자들이
만들어낸 신화와 전설도 섞일수 있어요.
저마다의 시각으로 선별해서 수용해야겠죠 :)
암튼 렘브란트만큼 심오하게
인간의 감정을 다룬 화가는 없었다라는
평가는 매우 설득력있어 보여요.
그 얘기는 극적 효과를 더하는
키아로스쿠로 기법과 함께 볼께요.
[chiaroscuro , clair obscure , Hell dunkel]
명암법( 明暗法) , 음영법이라고도 불리워요.
영화나 사진에서도 쓰이는 용어이고,
Similar effects in cinema and photography
also are called chiaroscuro.
파생된 미술용어(chiaroscuro drawing,
Chiaroscuro modelling,
Chiaroscuro woodcuts)들도 있지만,
오늘은 화법에 관해서만 다룰께요.
-----
렘브란트의 독창적인 기법은 아니구요
이제껏 봐왔던 작품보다 더 오랜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야 만날수 있는
엘그레코, 앙투안 바토, 보티첼리, 베르메르
벨라스케스등의 작품에서도 볼수있는
세심한 붓질로 대기를 묘사한 표현법이예요.
(앞으로 고전작품도 자주 감상하려고 해요:)
Chiaroscuro in art is the use of
strong contrasts between light and dark,
usually bold contrasts
affecting a whole composition.
-----
렘브란트가 명암법을 처음 작품에
도입한것은 1920-30년 무렵이예요.
1624년 암스테르담에서 6개월간
Peter Lastman의 작업실 일하는동안
그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어요.
피터르 라스트만은 이탈리아에서
바로크 화가 카라바조 (1571-1610,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와
아담 엘스하이머(▷Adam Elsheimer)를
연구하고 네덜란드로 돌아와
종교화와 신화적 주제로 성공을 이뤘던
렘브란트의 2번째 스승이예요.
선명한색채, 생생한 표정, 역동적 인물을
등장시킨 극적구성으로 주제를 표현했어요.
렘브란트는 이 특징적 요소들을
적극 수용했으며, 오랜시간이 흐른후에도
스승의 그림을 모사하곤 했어요.
평생 탐구했던 주제인 성서에 대한 애착도
라스트만의 작업실 시절부터 시작된것이예요.
중요한 건 chiaroscuro를 처음 접한것이
라스트만의 작업을 통해 카라바조를
알게되면서 부터인것으로 추정 해요.
더불어 ▷Gerard van Honthorst
헤릿판 혼트호르스트 (1592- 1656)
▷Hendrick ter Brugghen
헨드릭 테르브뤼헌(1588- 1629) 의
작품에서도 영감을 얻은것으로 보여요.
몇년간 갈고닦은 기량이 체득화되어 작품속에
빛을 발하기 시작한것이 다음 두작품이예요.
<Repentant Judas Returning
The Pieces Of Silver 1629>
은화 30냥을 돌려주는 유다
religious painting
panel, 79 x 102.3 cm
Private Collection
< Simeon's Song of Praise, 1631>
성전에 나타난 그리스도
그럼 1편은 렘브란트의 초상화를
감상하면서 마칠께요 :)
To Be Continued-
< Old Man With Turban 1625 >
oil on panel , 27 x 20 cm
<Rembrandt Laughing ,1628>
Netherlands (Place created)
Oil on copper, 22.2 × 17.1 cm
▷Getty Center(Currently on view at):
Museum East Pavilion, Gallery E205
< Rembrandt (portrait)1628 >
<Self Portrait as a young man,1628>
oil on board, 22.5 x 18.6 cm.
<Self Portrait with plumed beret, 1629>
oil on panel, 89.5 x 73.5 cm.
Isabella Stewart Gardner Museum, Boston
<Self Portrait with helmet ,1634>
80.5 x 66 cm.
Staatliche Museen Kassel,
GemäldegalerieAlte Meister, Cassel
<Self Portrait with a wide-brimmed hat 1632>
64.4 x 47.6 cm.
Glasgow Museums,The Burrell Collection
<Self Portrait in oriental attire With Poodle 1631>
oil on panel, 66.5 x 52 cm.
Musée du Petit Palais, Par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