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et Mondrian
피엣 몬드리안
(荷兰ㅣ1872-1944ㅣaged 71)
Movement: De Stijl
风格派运动(더 스테일)幕后艺术家和
非具象绘画(비구상회화)的创始者之一,
对后代的建筑、设计等影响很大。
非具象绘画(비구상회화)的创始者之一,
对后代的建筑、设计等影响很大。
The Netherlands (1872–1911)
Paris (1911–1914)
The Netherlands (1914–1919)
Paris (1919–1938)
London and NY (1938–1944)
<Passionflower(Possiebloem), 1908>
Post-Impressionism
ink, watercolor on paper, 47.5 x 72.5 cm
Gemeentemuseum, the Hague, Netherlands
●青少年时期
(1880年~1892年)
蒙德里安生于荷兰中部的阿麦斯福特,
父亲是一位清教徒和热衷美术的小学校长,
环境条件使蒙德里安从小就能接触美术,
而宗教对蒙德里安来说更是
他的启发、转变风格的关键。
八岁时蒙德里安立志要当画家,
但是家人认为艺术家是一项不稳定的工作,
蒙德里安与父母多次商量之后,
他承诺要取得美术教师资格养家糊口,
这才让蒙德里安的父母答应让他学习绘画。
但是蒙德里安拥有教师资格之后,
却未曾在教育界服务过。
在17岁取得小学教师资格之前,蒙德里安是
在他的叔父福尔兹·蒙德里安的指导下学习绘画
。福尔兹是一位海牙画派的画家,
因此蒙德里安得到写实浪漫的真传。
(1880年~1892年)
蒙德里安生于荷兰中部的阿麦斯福特,
父亲是一位清教徒和热衷美术的小学校长,
环境条件使蒙德里安从小就能接触美术,
而宗教对蒙德里安来说更是
他的启发、转变风格的关键。
八岁时蒙德里安立志要当画家,
但是家人认为艺术家是一项不稳定的工作,
蒙德里安与父母多次商量之后,
他承诺要取得美术教师资格养家糊口,
这才让蒙德里安的父母答应让他学习绘画。
但是蒙德里安拥有教师资格之后,
却未曾在教育界服务过。
在17岁取得小学教师资格之前,蒙德里安是
在他的叔父福尔兹·蒙德里安的指导下学习绘画
。福尔兹是一位海牙画派的画家,
因此蒙德里安得到写实浪漫的真传。
热衷[rèzhōng] 열광하다. 갈망하다
阿麦斯福特=Amersfoort, Netherlands
清教徒[qīngjiàotú] 청교도.
자신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사람.
校长[xiàozhǎng] 교장. 학장. 총장
자신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사람.
校长[xiàozhǎng] 교장. 학장. 총장
宗教[zōngjiào] 종교.
立志[lìzhì] 뜻,포부를 세우다. 결심하다.
养家糊口[yǎngjiāhúkǒu] 집안의 생계를 책임,
집안 식구를 가까스로 부양하다.
叔父[shūfù] 숙부. 작은아버지. 삼촌.
福尔兹·蒙德里安= Fritz Mondriaan (his uncle)
海牙[Hǎiyá] =헤이그(Hague)
立志[lìzhì] 뜻,포부를 세우다. 결심하다.
养家糊口[yǎngjiāhúkǒu] 집안의 생계를 책임,
집안 식구를 가까스로 부양하다.
叔父[shūfù] 숙부. 작은아버지. 삼촌.
福尔兹·蒙德里安= Fritz Mondriaan (his uncle)
海牙[Hǎiyá] =헤이그(Hague)
画派[huàpài]화파.
写实[xiěshí]있는 그대로를 묘사하다.
浪漫 [làngmàn]낭만적이다. 로맨틱하다.
真传[zhēnchuán] 기예·학문의 정수를 전수.
● 阿姆斯特丹时期
(1907年~1912年)
1892年蒙德里安进入阿姆斯特丹的
国立艺术学院,正式接受学院派的训练,
也奠定了他深厚的写实能力。
风景画是蒙德里安初期的绘画主题,
此时的作品仍旧弥漫著十七世纪荷兰绘画的
风格与精神,受到了印象主义인상주의、
象征主义상징주의和表现主义표현주의的
影响渐渐脱离了海牙画派的表面形式。
1903年蒙德里安以“静物(Still Life)"
获得艺术家会的肯定,
坚定他将绘当作终生职业意念。
在他的作品中可以看见严谨的构图和
豪放生动的笔触,兼具现代与古典的优点,
在同辈画家中已渐渐竖立自己的风格。
1909年蒙德里安经历了自己的宗教革命,
他加入了“荷兰通神论者协会”,
接触了新柏拉图主义和多神论思想,
使得蒙德里安发现自己,思考人类存在的价值。
这项转变也改变了蒙德里安创作的方向,
开启新造型主义的思考方向。
阿姆斯特丹[āmǔsītèdān] 암스테르담
国立艺术学院 =
Academy for Fine Art in Amsterdam
脱离[tuōlí] 단절하다.이탈하다.벗어나다
肯定[kěndìng] 의심할 여지없이,명확하다.
终生[zhōngshēng] 일생. 평생. 한평생.
严谨[yánjǐn] 엄격하다. 신중하다
豪放[háofàng] 호방하다. 호탕하다.
意念[yìniàn]생각. 견해.
兼具 [jiānjù]겸비하다
优点[yōudiǎn]장점
同辈 [tóngbèi] 동년배. 같은 또래.
新柏拉图主义[xīnbólātúzhǔyì]
=신플라톤주의Neo Platonism.
多神论思想 다신교적 사상
转变[zhuǎnbiàn]전환, 바뀌다.
新造型主义[xīnzàoxíngzhǔyì] 신조형주의
=네오플라스티시즘 Neo Plasticism.
写实[xiěshí]있는 그대로를 묘사하다.
浪漫 [làngmàn]낭만적이다. 로맨틱하다.
真传[zhēnchuán] 기예·학문의 정수를 전수.
● 阿姆斯特丹时期
(1907年~1912年)
1892年蒙德里安进入阿姆斯特丹的
国立艺术学院,正式接受学院派的训练,
也奠定了他深厚的写实能力。
风景画是蒙德里安初期的绘画主题,
此时的作品仍旧弥漫著十七世纪荷兰绘画的
风格与精神,受到了印象主义인상주의、
象征主义상징주의和表现主义표현주의的
影响渐渐脱离了海牙画派的表面形式。
1903年蒙德里安以“静物(Still Life)"
获得艺术家会的肯定,
坚定他将绘当作终生职业意念。
在他的作品中可以看见严谨的构图和
豪放生动的笔触,兼具现代与古典的优点,
在同辈画家中已渐渐竖立自己的风格。
1909年蒙德里安经历了自己的宗教革命,
他加入了“荷兰通神论者协会”,
接触了新柏拉图主义和多神论思想,
使得蒙德里安发现自己,思考人类存在的价值。
这项转变也改变了蒙德里安创作的方向,
开启新造型主义的思考方向。
阿姆斯特丹[āmǔsītèdān] 암스테르담
国立艺术学院 =
Academy for Fine Art in Amsterdam
奠定[diàndìng]다지다. 닦다. 안정시키다.
弥漫[mímàn] 자욱하다. 가득하다脱离[tuōlí] 단절하다.이탈하다.벗어나다
肯定[kěndìng] 의심할 여지없이,명확하다.
终生[zhōngshēng] 일생. 평생. 한평생.
严谨[yánjǐn] 엄격하다. 신중하다
豪放[háofàng] 호방하다. 호탕하다.
意念[yìniàn]생각. 견해.
兼具 [jiānjù]겸비하다
优点[yōudiǎn]장점
同辈 [tóngbèi] 동년배. 같은 또래.
新柏拉图主义[xīnbólātúzhǔyì]
=신플라톤주의Neo Platonism.
多神论思想 다신교적 사상
转变[zhuǎnbiàn]전환, 바뀌다.
新造型主义[xīnzàoxíngzhǔyì] 신조형주의
=네오플라스티시즘 Neo Plasticism.
<Houses on the Gein, 1900>
<Dune Landscape, 1909>
<Evening at Weesperzijde Sun>
<Triangulated Farmhouse Facade with Polder in Blue>
몬드리안의 어린시절은 사회적으로 빈곤이
만연해 있어, 광적인 믿음으로 슬픔을 달래며
종교적 환상에 빠지는 신도들이 많았어요.
1편에서 몬드리안이 다니던 초등학교의
교장선생님이였던 아버지를 소개했죠.
부친도 교회에 매우 헌신적인 사람이였어요.
부친은 가정과 가사일에는 소홀한데다
모친은 자주 아파서, 몬드리안의 형제자매들은
어린누이의 통솔아래 궁핍하게 자라났어요.
그럴수록 몬드리안은 상상의 세계로 침잠하며
그림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는 경향을 보였어요.
어릴땐 아들과 함께 교회에 쓰일 석판화를
제작하며 스승노릇도 했지만, 어느새
훌쩍 커버린 아들에게 그림을 배우게 할만한
경제적 여력이 없던 부친은 부유한 개신교
친구들에게 학비를 부탁했던 것으로 보여요.
몬드리안은 보수적인 신교도 모임에 가입해
종교적 삽화 제작에 참여 했어요.
교수대에서 참수당하는 순교자, 교회가 있는
농장풍경등을 담은 삽화등이 전해져요.
1890년 후반까지 조직에 순응하며 지냈어요.
-----
1897년은 줄곧 형제들과 시골에서 지냈어요.
이듬해 가을부터 1899년 여름까지 부모님과
함께 지내며 폐렴치료를 하는데, 처음으로
많은 작품을 남긴 다작(多作)의 시기예요.
고향 네덜란드 동부 Winterswijk 빈테르스베이크
작은마을 풍경을 담은 연작을 제작했어요.
화판을 들고 정원으로 나가서 마을 사람들과
가축을 돌보는 사람들을 드로잉하여
수채화나 유화로 완성시켰어요.
교회의 탑 정경(情景 :)은 그가 특히 좋아한
주제이며, 푸른하늘 아래 곧게 뻗은 길과 운하,
교회의 탑 정경(情景 :)은 그가 특히 좋아한
주제이며, 푸른하늘 아래 곧게 뻗은 길과 운하,
정취가 배어있는 밭두둑에서 쟁기질하는 농부,
경쾌한 선홍빛 지붕아래 활짝 웃고있는
농부의 부인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했어요.
이 시기 작품들은 고요하고 운치있으며
게다가 새롭고 산뜻한 인상을 전해요.
-----
1900년경에는 풍경화에 좀더 집중해요.
같은시기에 독일 아르누보 작가들과
클림트를 비롯한 오스트리아 빈Vienna의
모더니즘 화가들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어요.
회화에서 단순묘사의 한계를 절감하고
상상력을 동원해 인공미를 부가해요.
네덜란드 화가들이 우수에 젖은 애잔함을,
빈의 화가들은 에로티시즘을 가미했죠.
몬드리안 역시 어릴때 부친과 종교화를 제작
할때부터 사실만을 전달하는 그림이 아닌,
호소력짙은 인물과 상징성있는
요소들로 화면을 구성하려 애써왔어요.
<Girl Writing( =Schrijvend meisje) 1892-5>
Impressionism,chalk on paper, 44.5 x 57 cm
Gemeentemuseum, the Hague, Netherlands
헤이그 시립미술관
국립아카데미(the Academy for Fine Art
in Amsterdam) 시절의 드로잉으로 추정되는
작품이예요. 도심의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수업에서는 무용수나 여배우를 모델로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도록 교육받았지만,
몬드리안은 마치 시골소녀처럼 표현했어요.
빳빳하게 풀먹인 모자를 쓰고 앉은자세나
표정이 다소 불편하고 어색해 보이긴 해도,
마치 자신의 전원생활을 회상하며 그린듯
상당히 목가적인 분위기를 풍겨요.
실제 드로잉의 일부는 자를 대고 그렸어요.
표정이 다소 불편하고 어색해 보이긴 해도,
마치 자신의 전원생활을 회상하며 그린듯
상당히 목가적인 분위기를 풍겨요.
실제 드로잉의 일부는 자를 대고 그렸어요.
Impressionism landscape
oil on canvas
<Meandering Landscape With River 1906-1907>
Impressionism
watercolor on paper, 65 x 50 cm
Musée d'Orsay, Paris, France
<Lonely Tree At The Gein 1906-1907>
Impressionism, charcoal on paper
Musée d'Orsay, Paris, France
아카데미즘을 고수하던 제도권의 냉담한
시선을 경험하면서 1902-3년, 기성미술에
반대하는 급진세력에 잠시 몸 담았어요.
대회에 나가서도 번번히 수상에 실패하고
좀처럼 미술가로서 인정 받지못하다가
1905년 문득 대중의 기대를 고려해야
하는가에 대해 깊이 생각해요.
이때 주제와 소재에 다소 변화를 보이는데
숲, 덤불, 길모퉁이등 고립적인 장면이
풍차,목장으로 대체되면서 (네덜란드)전통으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감지할수 있어요 .
대중적이고 현대적인것이 아니라
과거의 주제를 다루며 오히려 그들의
기대를 역행하는 경향은 줄곧 계속돼요.
더불어 대가들의 작품을 모사했어요.
좋아하던 주제인 시골의 저녁풍경과 야경을
반고흐의 모티프와 접목한것이 분명해보이는
1906-8년경 제작된 작품들이 전해져요.
당시 사망한지 얼마안 된 고흐의 열풍에
가담했다기 보다는, Vincent van Gogh처럼
자연의 단순묘사를 넘어서 나름의 해석을 통해
자기색깔이 뚜렷한 화가가
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이해되요.
또 처음으로 꽃을 그리기 시작해요.
종교미술에서 자주 다루기 때문에
이미 친숙한 주제였어요.
-----
특유의 인공적인 풍경화에 대해..
아직 할 얘기가 많이 남아 있어서
다음편에 해야 겠어요 :)
To Be Continued-
<Self Portrait (= Zelfportret) 1918>
Post-Impressionism,oil on canvas, 71 x 88 cm
Haags Gemeentemuseum, Netherlands
♥
^^*